본문 바로가기

아저씨의 일상11

당당한 나, 근데 모자람을 곁들인 주말 아침, 책 집필이 진행되지 않아 답답한 마음에 머리를 감다가 이런 생각을 했다. 내가 가장 두려워 하는 것이 뭐지? 내가 두려워하는 것이 있으니까 거기에서 막혀 더 나가지 못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깊이 생각해보니 내가 펼치는 논리에 허점이나 구멍이 있는데 능력이 부족하여 알아채지 못하거나 메우지 못하는 상황이 가장 두려웠다. 내 스스로의 모순을 발견하는 것. 이게 나의 가장 큰 두려움이다.  어이없는 것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스타일의 개그가 저런 자가당착 개그라는 것이다. 대표적인 스타일이 미드 오피스의 마이클의 개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jkRWYC28-Nw 사실 살다보면 의외로 진중한 자리에서 어떤 이가 자신의 논리를 역행하는 말을 뱉는 모습을 종.. 2025. 3. 16.
[덴마크] 페스터라운(Fastelavn)에 대해 덴마크의 페스터라운(Fastelavn): 아이들이 나무통을 두드리는 이유는?덴마크에서 2월이 되면 슈퍼히어로, 공주, 해적, 동물 등 다양한 모습으로 분장한 아이들이 등장한다. (또 다른 할로윈?) 그런데 이 아이들이 한 손에 나무 방망이를 들고, 줄에 매달린 나무통을 두드리기 시작한다. 안에서는 사탕이 쏟아지고, 환호성이 울려 퍼진다. 이는 페스터라운(Fastelavn)이라는 덴마크의 전통적인 축제의 일부다. 과연 이 축제는 어디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어떻게 즐기고 있을까?  페스터라운의 역사와 기원페스터라운은 덴마크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축제로, 사순절(Lent)이 시작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즐기는 날이었다. 사실, 페스터라운이라는 이름 자체도 “사순절 전날”이라는 뜻을 가진 독일어 "Fastel.. 2025. 2. 26.
[덴마크] 부러진 레고 블록 공짜로 받기 인터넷을 떠돌다 레딧에서 어떤 사람이 레고가 부러진 블록을 무료로 보내준다고 칭송하는 커멘트를 봤다. 아래 글은 아니었는데 내용은 비슷했다.https://www.reddit.com/r/lego/comments/1adi90w/just_a_reminder_that_if_your_set_is_missing_a/ 마침 내가 산 중고 레고의 깃발 블럭들이 부러져있어 절망하고 있던 참이라 손해 볼 것도 없으니 바로 시켜보기로 했다. 덴마크 기준으로는 아래의 웹사이트로 신청했다.https://www.lego.com/da-dk/service/email-us/details/Products/Replacement%20Parts?marketfallbackfrom=en-dk 내가 갖고 있는 레고는 워낙 오래되어 모델의 블록을 .. 2025. 2. 18.
인류가 망해가는 징조 (feat. AI) 임용한 박사님의 멸망의 위기에 빠진 나라들의 역사적 공통점이라는 유툽 영상을 보다가 현재 AI를 대하는 인류와 굉장히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x6l5sT15E  AI의 등장과 함께 인류는 기술적 도약을 맞이했지만, 과연 우리가 AI를 제대로 통제할 수 있을까? 역사를 되돌아보면 멸망의 길을 걸은 국가들은 공통적인 실수를 반복해왔다.그리고 지금의 인류 역시 같은 실수를 AI를 대하는 태도에서 보여주고 있다.결국, 우리는 AI의 지배를 피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썸네일은 다섯 가지 징조라 하는데 실제 영상에는 네 가지만 나온다.) 첫 번째는 공동체 의식 부족 (다원화의 역설)이다.역사적으로 강력한 공동체 의식은 국가를 유지하는 핵심 요소였다.그러.. 2025. 2. 14.
한국의 교육열과 인재 유치에 대한 고찰 다음의 유툽 영상을 보다가 마지막 부분에 인재 유치와 관련된 내용이 나와 통찰을 얻고 글을 적어본다. https://www.youtube.com/watch?v=20LLkA4fsuw  한국에서의 치열한 교육열을 오롯이 견뎌낸 나는 그 자비없는 경쟁과 교육열에 치가 떨리는 사람이다. 하지만 외국에서 활동하는 많은 한국인들을 보면 그래도 각자 자기의 몫 이상 해내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었다.(인생에는 운이 크게 작용하기에 무조건 이 말이 옳다고 할 순 없지만..) 세계적으로 치열하기로도 유명한 한국의 대입 경쟁은 2~3년이라는 단기간에 방대한 지식 습득을 요구한다. 그 사이 얻어진 대부분의 지식들은, 많은 이들이 불평하듯이 일상 생활 또는 전공에 활용할 일이 별로 없다. 하지만 이런 환경이 한국인의 빠른 학습.. 2025. 2. 5.
전문가가 되어가는 여정 전문가가 되는 과정은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날카롭게 갈아문제 상황이 닥쳤을 때 전략을 짜고바로 행동에 돌입하는 능력을 갖춰가는 과정이다.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은 자신에게 맡겨진 일을 잘 완수하는 사람이다.  이 두 가지가 합쳐질 때 그 사람은 빛나게 된다. 하지만 그로 인해 갖게 되는 고통도 있다.  지난 몇 주간은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진 업무가 닥쳐와서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탔다. 전문가로써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업무 전략을 짰으나 내가 맡기에 너무 큰 업무였고, 이를 기간 내에 마치지 못할 확률이 컸다. 예상되는 업무의 실패로 나의 신뢰도를 하락이 예정되는 상황이었기에 나는 무척 예민해졌다. 업무를 진행하게 된 후, 작은 디테일에 집착하게 되면서부터는 이 예민함이 더 증폭되었다.  분명 처음 이 .. 2024. 12. 17.